홍지수 (언론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지수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연세대학교 졸업 후 한국방송공사(KBS) 아나운서로 활동했으며, 《KBS 뉴스광장》과 《KBS 뉴스 9》 앵커를 역임했다. KBS 퇴사 후 미국에서 정보통신부 차장, 리인터내셔널 무역투자연구원 이사로 근무했다. 귀국 후에는 정치 서적 번역 및 객원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2017년에는 《트럼프를 당선시킨 PC의 정체》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동문 - 이혜승
이혜승은 예일여자고등학교,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SBS 공채 10기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여러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2014년 아나운서대상 아나운서 클럽상을 수상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동문 - 신은경 (교육인)
신은경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이자 전 KBS 아나운서로, KBS 앵커 활동 후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과 새누리당 당무위원을 역임하며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다. - 다문화주의 비판자 - 자이르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군사 독재를 옹호하고 차별적인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공직 활동이 금지되었다. - 다문화주의 비판자 - 자라 바겐크네히트
독일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인 자라 바겐크네히트는 좌파당에서 반자본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며 논쟁적인 인물로 활동하다가, 아우프슈테헨 설립 후 좌파당을 탈당, "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 - 이성과 정의를 위해" (BSW)를 창당하여 현재 당 대표를 맡고 있다. - 여성주의 비판자 - 자이르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군사 독재를 옹호하고 차별적인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공직 활동이 금지되었다. - 여성주의 비판자 - 로저 스크러턴
로저 스크루턴 경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작가, 보수주의 사상가로서, 미학, 보수주의, 정치철학 분야에서 활발한 저술 활동과 《솔즈베리 리뷰》 편집, 동유럽 반체제 운동 지원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논란과 함께 "더 나은 건축, 아름다운 건축 위원회" 위원장직에서 해임 후 재임명되는 등 여러 논쟁의 중심에 섰다.
홍지수 (언론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홍지수 |
원어이름 | 洪知秀 |
본명 | (알 수 없음) |
출생지 | 대한민국 |
사망일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알 수 없음) |
거주지 | (알 수 없음) |
별명 | (알 수 없음)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력 |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무역학 석사 미국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환경정책학 석사 |
경력 | |
직업 | KBS 한국방송공사 아나운서 《KBS 뉴스광장》 평일 앵커 (1992년 4월 6일 ~ 1993년 5월 1일) 《KBS 뉴스 9》 평일 앵커 (1993년 5월 3일 ~ 1993년 10월 15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정보통신부 차장 리인터내셔널 무역투자연구원 이사 《뉴데일리》, 《미디어펜》, 《펜앤드마이크》, 《월간조선》 객원 칼럼니스트 |
기타 정보 | |
직업 | 언론인, 방송인, 번역가, 정치 평론가 |
병역 | (알 수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알 수 없음) |
부모 | (알 수 없음) |
친척 | (알 수 없음) |
서명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약력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국제무역학 석사 학위,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에서 환경정책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 1. 방송 활동
홍지수는 1987년 한국방송공사(KBS)에 입사하여 아나운서로 활동했다. 1992년 4월 6일부터 1993년 5월 1일까지 《KBS 뉴스광장》 평일 앵커를 맡았고, 1993년 5월 3일부터 1993년 10월 15일까지 《KBS 뉴스 9》 평일 앵커를 맡았다.[1]2. 2. 미국 활동 및 귀국 후
한국방송공사(KBS)에서 퇴사한 이후에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매사추세츠주 정보통신부 차장으로 근무했으며 리인터내셔널 무역투자연구원에서 이사로 근무했다.[1] 대한민국으로 귀국한 이후에는 주로 미국, 영국에서 출간된 영어 정치 서적을 한국어로 번역했다.[1] 또한 《뉴데일리》, 《미디어펜》, 《펜앤드마이크》, 《월간조선》에서 객원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보수주의 성향이 담긴 정치 칼럼을 게재했다.[1] 2017년에는 미국과 유럽 사회에 만연한 좌익 이념,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 문화, 이슬람교 문화, 난민 문화, 다문화주의, 여성주의(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정치 서적 《트럼프를 당선시킨 PC의 정체》(북앤피플)를 출간했다.[1]2. 3. 저술 활동
Donald J. Trump|도널드 트럼프영어를 당선시킨 정치적 올바름(PC)의 정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책으로, 2017년 북앤피플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미국과 유럽 사회에 만연한 좌익 이념과 정치적 올바름(PC) 문화를 비판하며, 이러한 현상이 트럼프 당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1]3. 저서
- 《트럼프를 당선시킨 PC의 정체》 (2017년, 북앤피플)
4. 번역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2010년 | 《월든 - 시민 불복종》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0년 |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 부키 |
2011년 | 《자유》 | 은행나무 |
2011년 | 《전략 퍼즐》 | 부키 |
2012년 | 《연애와 결혼의 과학》 | 민음사 |
2013년 |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 | 봄아필 |
2013년 | 《신의 흔적을 찾아서》 | 김영사 |
2013년 | 《일본의 한국 식민지화》 | 늘품플러스 |
2014년 | 《짝찾기 경제학》 | 청림출판 |
2014년 | 《뇌를 훔치는 사람들》 | 청림출판 |
2015년 | 《나의 아버지 부시 41》 | YBM |
2015년 | 《버니 샌더스의 정치 혁명》 | 원더박스 |
2016년 | 《오리지널스》 | 한국경제신문사 |
2016년 | 《부자들은 왜 민주주의를 사랑하는가》 | 원더박스 |
2016년 | 《또라이 트럼프》 | 한국경제신문사 |
2016년 | 《코빈 동지》 | 책담 |
2016년 | 《내가 세계를 지배한다면》 | 원더북스 |
2017년 | 《원더랜드》 | 프런티어 |
2017년 | 《무엇이 불평등을 낳는가》 | 새로운현재 |
2018년 |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 김앤김북스 |
2018년 | 《죽는 게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이겠지만》 | 부키 |
2019년 |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김앤김 |
2019년 | 《뉴파워: 새로운 권력의 탄생 - 초연결된 대중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 비즈니스북스 |
2019년 | 《포뮬러 - 성공의 공식》 | 한국경제신문사 |
2019년 | 《멈추지 못하는 사람들》 | 부키 |
2019년 | 《미국의 봉쇄 전략》 | 비봉출판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